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제목
[보도자료] 5.10. 현장점검의 날 「부딪힘 사고」 위험 집중 점검 실시
담당부서
고용관리과 
전화번호
054-271-6775 
담당자
조윤경 
등록일
2023-05-10 
 
5.10. 현장점검의 날
「부딪힘 사고」 위험 집중 점검 실시


□ 고용노동부 포항지청(지청장 김승환)은 5월 10일(수) 2023년 제9차 현장점검의 날*에 3대 사고유형 8대 위험요인** 중 최근 유사한 형태로 중대재해가 다수 발생한 ‘부딪힘 사고’ 위험을 집중적으로 점검했다고 밝혔다.
  * 매월 2·4주 수요일 고위험사업장 등을 대상으로 불시에 현장을 점검·감독
  ** ?<추락>비계, 지붕, 사다리, 고소작업대 ?<끼임>방호장치, 정비 중 운전정지(Lock Out, Tag Out)
     ?<부딪힘>혼재작업, 충돌방지장치


□ 최근 ‘부딪힘 사망사고’ 사례*를 보면 ?차량?기계 등 작업의 위험요인을 사전 조사한 후?운행경로 및 작업방법, 위험요인 예방대책 등을 포함한 작업계획서를 작성?준수해야 하고, ?해당 작업 반경 내에 출입을 금지하거나 유도자를 배치하여 관리하는 등의 조치를 강화했으면 막을 수 있었던 사고로 보인다.
  * (천안, 4.4) 화물차 운전원이 제품 하역 대기 중 지게차에 부딪힘
    (인천, 4.7) 신호수가 현장에 진입하던 덤프트럭에 부딪힘
    (고양, 4.10) 건설폐기물 사업장에서 로더에서 내린 운전원이 다른 로더에 부딪힘
                   ? (로더) 건설현장에서 토사를 퍼서 덤프트럭에 옮겨 싣는 작업을 주로 하는 건설장비

ㅇ 아울러 지게차, 굴착기 등 차량 등에 충돌방지를 위한 스마트 안전장비를 설치하면 부딪힘 사고의 상당수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고용노동부는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에 따라 중소사업장의 ‘부딪힘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스마트 안전장비를 지원하기 위해 올해 총 250억 원 규모의 ?스마트 안전장비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최근 3년간(’20~’22년, 승인통계 기준) ‘전체 사망사고(2,584명)의 9.1%를 차지한 부딪힘 사망사고’를 분석한 결과, 차량·기계 등에 부딪혀 사망한 근로자는 총 236명으로, ’20년과 ‘21년에는 각각 72명이었고 ’22년에는 20명이 증가(27.8%)한 92명이 사망했다.

ㅇ 또한, 차량?기계 등*에 부딪혀 사망하는 사고는 건설업(52.1%, 123명)에서 주로 발생하고 다음으로 기타업종(33.5%, 79명), 제조업(14.4%, 34명)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즉 ‘부딪힘 사고’는 모든 업종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근로자와 차량·기계 등의 혼재 작업에서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 현장점검을 진행할 계획이다.
  * 지게차, 화물 차동차, 덤프트럭, 굴착기, 로더 등


□ 김승환 포항지청장은 “우리나라 3대 사고유형 중 하나인 부딪힘 사고는 근로자와 차량·기계 등과의 혼재작업에서 주로 발생하는 만큼, 노사가 함께 스스로 작업 현장의 유해?위험요인을 찾아내어 개선해 나가는 위험성 평가를 통해 기본적인 안전의식을 개선해야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ㅇ 또한, “스마트 안전장비를 도입하는 것도 ‘부딪힘 사고’ 등 산업재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스마트 안전장비 도입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련 사업을 충분히 활용하기 바란다.”라고 했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산재예방지도과 안병혁 감독관(☎054-271-6842), 건설산재지도과 최대진 감독관(☎054-271-6851)에게 연락해주시기 바랍니다.
 
첨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