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고용노동부의 대상자별 정책입니다.
청년, 일할 기회 늘리기
청년일자리 창출
-
청년 디지털 일자리 사업
[ 대상 ] 만15~34세 청년을 IT활용 가능한 직무에 채용한 5인 이상 중소ㆍ중견기업
[ 개요 ] 청년층에게 IT분야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지속근무 또는 연관분야 취업을 촉진하고, 기업에게는 실질적인 부가가치를 창출토록 지원하는 청년민간일자리 사업
-
청년 일경험 지원 사업
[ 대상 ] 만15~34세 청년(대학생 참여가능)을 단기 채용한 5인 이상 중소ㆍ중견 기업
[ 개요 ] 청년에게 중소ㆍ중견기업의 일경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직무경력과 정규직 취업가능성을 제고하고, 중소기업 등의 인력난 해소에 기여하는 청년 민간일자리 창출사업
장기근속 및 자산형성 지원
-
청년 추가고용 장려금 지원사업
[ 대상 ] 청년(만15세 이상 34세 이하)을 정규직으로 신규 채용한 5인 이상 중소‧중견기업
[ 개요 ] 청년을 정규직으로 추가로 고용한 중소・중견기업에 인건비를 지원함으로써, 양질의 청년일자리 창출
-
청년내일채움공제
[ 대상 ] 신규 취업 청년 및 5인 이상 중소‧중견기업
[ 개요 ] 청년들의 중소‧중견기업 신규 취업을 촉진하고, 장기근속을 유도
-
청년구직활동지원금
[ 대상 ] 만 18~34세 청년 중 졸업․중퇴 후 2년 이내인 미취업자(기준중위소득 120% 이하, 생애1회) 대상
[ 개요 ] 자기주도적 구직활동을 하는 미취업 청년(만 18~34세)에게 청년구직활동지원금을 지원하여 원활한 노동시장 진입 지원
정보제공
-
온라인 청년센터
[ 개요 ]중앙·지자체 청년정책‧공간 정보 및 정책안내‧상담을 제공하는 홈페이지(www.youthcenter.go.kr 온라인청년센터)를 통한 고용서비스 제공
-
오프라인 청년센터
[ 대상 ] 청년센터를 운영하는 지방자치단체(광역, 기초 불문)
[ 개요 ] 지역별 청년친화 공간을 활용해 정책 연계를 강화하고, 취업지원 프로그램 등을 제공함으로써 청년의 정책 체감도 및 역량 강화
-
청년친화강소기업
[ 개요 ] 임금체불, 산재사망 등 7가지 결격요건이 있는 기업을 제외하고 임금수준, 일가정양립, 고용안정성 등 청년 친화적인 요건을 반영하여 선정한 알짜 중소 · 중견기업 정보 제공
진로탐색
직무능력 키우기
-
청년취업아카데미
[ 대상 ] 참여과정 분야의전공 및 전공수준의졸업(예정)자, 인문·사회·예체능계열 졸업(예정)자, 재학생 및 졸업예정자등
[ 개요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맞춤형 교육과정을 대학생(원) 졸업(예정)자에게 제공하여 청년의 노동시장 조기진입 등 청년고용 창출
-
일학습 병행
[ 대상 ] 해당 분야의 기술력을 갖추고 인력양성 의지가 높은 기업
[ 개요 ] 기업이 청년 등을 선채용 후 NCS기반 현장훈련을 실시하고, 학교·공동훈련센터의 보완적 이론교육을 통해 숙련형성 및 자격취득까지 연계하는 새로운 현장중심의 교육훈련제도
-
국민내일배움카드
[ 대상 ] 공무원, 사립학교 교직원, 졸업예정자 이외 재학생, 연 매출 1억 5천만워너 이상의 자영업자, 월 임금 300만원 이상인 대기업 근로자(45세미만), 특수형태근로 종사자를 제외한 누구나 신청가능
[ 개요 ] 취업에 필요한 직무능력을 습득할 수 있는 훈련에 참여토록 직업능력 개발계좌(국민내일배움카드)를 발급하여 훈련비를 지원하고, 훈련 이력을 종합관리ㆍ지원
일경험기회
해외취업
정책자료
- 사람투자 10대과제
- 2020.06.21
- 노동시장 변화에 대응한 직업훈련 혁신방안
- 2020.06.21
- 한눈에 보는 청년고용 지원정책
- 2020.05.13
- 가족돌봄 등 근로시간 단축제도 가이드북
- 2020.01.13
- 2020년 고용노동부 예산안을 알기 쉽게 설명한 분야별 카드뉴스와 인포그래픽
- 2019.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