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고용노동부의 대상자별 정책입니다.
청년, 일할 기회 늘리기
일자리 창출 및 자산 형성 지원
-
청년채용특별장려금
[ 대상 ] 청년(만15세~34세)을 정규직으로 신규 채용한 5인 이상 중소ㆍ중견기업(성장유망업종, 벤처기업 등은 5인 미만이라도 지원가능)
[ 개요 ]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한 중소ㆍ중견기업에 인건비를 지원함으로써 양질의 청년 일자리 창출
-
청년내일채움공제
[ 대상 ] 신규 취업 청년 및 5인 이상 중소기업
[ 개요 ] 청년들의 중소기업 신규 취업을 촉진하고, 장기근속을 유도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 대상 ] 사업참여 신청 직전 월부터 이전 1년간 평균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가 5인 이상인 우선지원 대상기업 사업주 및 채용일 기준 6개월 이상 실업상태인 만15세~34세 청년
[ 개요 ] 기업의 청년고용 확대를 지원하고 취업애로청년의 취업을 촉진함으로써 청년고용 활성화
정보제공
-
온라인 청년센터
[ 개요 ]중앙ㆍ지자체 청년정책ㆍ공간 정보 및 정책안내ㆍ상담을 제공하는 홈페이지(www.youthcenter.go.kr 온라인청년센터)를 통한 고용서비스 제공
-
오프라인 청년센터
[ 대상 ] 청년센터를 운영하는 지방자치단체(광역, 기초 불문)
[ 개요 ] 지역별 청년친화 공간을 활용해 정책 연계를 강화하고, 취업지원 프로그램 등을 제공함으로써 청년의 정책 체감도 및 역량 강화
진로탐색
직무능력 키우기
-
일학습 병행
[ 대상 ] 해당 분야의 기술력을 갖추고 인력양성 의지가 높은 기업
[ 개요 ] 기업이 청년 등을 선채용 후 NCS기반 현장훈련을 실시하고, 학교ㆍ공동훈련센터의 보완적 이론교육을 통해 숙련형성 및 자격취득까지 연계하는 새로운 현장중심의 교육훈련제도
-
산업계 주도 청년 맞춤형 훈련
[ 대상 ] 만 18~34세 청년 구직자 및 재직자
[ 개요 ] 청년층(청년 구직자, 재직자 등)을 주요 대상으로 산업계ㆍ기업 수요를 반영한 훈련을 제공하여 양질의 일자리를 얻을 수 있도록 지원
일경험기회
해외취업
기타
정책자료
- 연차휴가제도 및 근로자 휴가지원 사업 안내
- 2022.06.17
- 2021년 근무혁신 우수사례집
- 2022.04.08
- 2022년 재택근무 종합컨설팅 우수사례집
- 2022.03.22
-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설명자료
- 2022.03.22
- 한눈에 보는 청년고용 지원정책
- 2020.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