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고용노동부의 대상자별 정책입니다.
외국인, 국내 노동시장과의 조화
-
고용허가제도
[ 대상 ] 중소 제조업(근로자 300인 미만 혹은 자본금 80억원 이하), 농·축산업, 어업(20톤 미만), 건설업, 서비스업(건설폐기물 처리업 등 9개 업종)등
[ 개요 ] 내국인을 구하지 못한 중소기업이 정부로부터 고용허가서를 발급받아 합법적으로 비전문 외국인력을 고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
외국인근로자 사업장 변경제도
[ 대상 ] 외국인노동자, 사업주
[ 개요 ] 외국인근로자는 법정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최초 3년간 3회, 재고용 1년 10개월간 2회의 사업장 변경 허용
-
재입국 특례 외국인근로자 취업 제도
[ 대상 ] 요건을 모두 충족하고 있는 외국인근로자등
[ 개요 ] 제조업이나, 농축산·어업, 서비스업 등 힘든 근무환경 속에서 일정기간 동일업종·사업장에서 근무한 외국인근로자는 사업주의 요청에 따라, 출국 1개월 후 재입국하여 다시 근무할 수 있는 제도
-
특별한국어시험 재취업 제도
[ 대상 ] 고용허가제로 입국하여 3년간 취업활동 후 재고용되었던 자로서 체류기간 만료 이전에 자발적으로 귀국한 외국인근로자
[ 개요 ] 재고용만료 귀국예정자에 대한 재입국 취업의 가능성을 높여, 자진귀국을 유도하고 영세 기업의 숙련인력 계속 사용 지원
-
외국인근로자 체류 지원
[ 대상 ] 고용허가제로 입국한 외국인노동자 및 방문취업 동포
[ 개요 ] 고용허가제로 입국한 외국인근로자(E-9) 및 방문취업동포(H-2)에게 고충상담, 한국어 및 생활법률 교육 등을 통한 체류지원 서비스 제공
-
외국인근로자 지원센터 운영
[ 대상 ] 외국인 노동자 및 사업주
[ 개요 ] 문화적 차이와 언어소통의 한계로 인해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고충상담, 한국어·생활법률·정보화교육 등 지원
-
외국인력 상담센터 운영
[ 대상 ] 외국인노동자 및 고용사업주
[ 개요 ] 외국인근로자와 외국인고용사업주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전화상담을 통해 신속하게 고충을 해결하도록 지원
정책자료
- 폭염 대비 외국인용 온열질환 예방가이드(16개 송출국 언어 및 영어) 게시
- 2023.07.12
- 2022년 재택근무 우수사례집
- 2023.04.06
- 공감채용 가이드북 배포 안내
- 2023.03.02
- 근로자 건강권 보호를 위한 자가진단 등 안내
- 2023.01.26
- 연차휴가제도 및 근로자 휴가지원 사업 안내
- 2022.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