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제목
“ 산업현장, 해외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 쉬워진다 “
등록일
2014-06-27 
조회
1,001 

<사례>
포항시에 소재한 풍력발전기 제조업체인 A기업(근로자수 90여명)은 국내 안전보건경영시스템(KOSHA 18001) 인증에 6개월간의 인증기간과 370만원의 인증비용이 소요되었으나, 2010년 10월 미주지역 해외수출을 위해 별도로 3개월간 800만원의 인증비용을 들여 국제 안전보건경영시스템(OHSAS 18001) 인증을 취득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국내에서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을 받은 기업의 수출길이 쉬워진다.안전보건공단(이사장 백헌기)은 6.27(금) 오전 11시에 서울 영등포구에 소재한 안전보건공단 서울지역본부 회의실에서 국제 인증기관 5개사와 상호인증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상호인증 업무협약에 따라, 국내 기업이 안전보건공단과 협약체결 인증기관이 인증하는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취득한 경우, 해외 수출시 관련 국제 인증을 별도로 취득하지 않아도 된다.

현재 국내에서는 안전보건공단이 'KOSHA 18001'이라는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외국의 경우에는 영국, 독일, 프랑스 등 13개 다국적 안전보건인증기관들이 운영하는 ‘OSHAS 18001'이라는 국제 인증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은 기업이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조치 사항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활동으로 안전보건공단 등 인증기관이 신청사업장에 대하여 평가기준을 두고 인증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에 안전보건공단과 상호인증을 맺은 기관은 국내에서 안전보건경영시스템에 대한 국제인증 업무를 대행하는 능률협회 인증원, 크레비즈 인증원, 기술사 인증원, CRS 인증원, SBC인증원 등 5개 기관이다.

이번 상호인증 협약으로, 기업이 기존에 국내인증과 해외인증에 대하여 각각 취득하던 것을 한번에 해결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절반가까이 줄이는 효과가 기대된다.

예를들어, 50인미만 사업장의 경우 국내 안전보건경영시스템과 해외인증을 받는데 각각 약 2백만원으로 총 4백만원이 소요되었으나, 이번 상호인증 협약으로 2백만원만으로 국내인증과 해외인증 취득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현재 국내에서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을 받은 사업장은 현재까지 1천 500개 사업장으로, 인증을 취득한 기업은 약 25.6%정도의 산업재해율 감소로 산재보험료 절감과 노사관계 증진등의 부대효과도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헌기 안전보건공단 이사장은 “기업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은 불필요한 산업재해로 인한 손실을 줄이고, 선진 일터를 만들기 위한 필수조건”이며, “상호인증 등의 혜택 등으로 기업의 적극적인 시스템 도입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문  의:  전문기술총괄실 조규선 (052-7030-605)

첨부
  • pdf 첨부파일 6.27 산업현장 해외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 쉬워진다(안전보건공단).pdf 다운로드 미리보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