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제목
- '14.5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발표 -
등록일
2014-06-30 
조회
747 

【주요 특징】

 ’14.5월 사업체 종사자 수는 15,174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51천명 증가했으나, 금년 2월 이후 증감폭은 계속 둔화되고 있는 상황

   종사자수 증가(151천명)는 상용직 중심으로 증가하고(236천명), 그동안 증가폭이 축소되던 임시・일용직은 감소(-19천명)로 전환

   업종별로는 건설업(145천명),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44천명) 등의 종사자가 많이 증가하였고 도·소매업(-35천명), 금융·보험업(-31천명) 등은 감소

   ‘14.5월, 사업체 입직자는562천명으로전년동월대비40천명(-6.6%) 감소하고, 이직자는577천명으로전년동월대비 7천명(1.2%) 증가

 ’14.4월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036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7% 증가하고, 근로시간은 180.2시간으로 0.9% 감소

   월평균 임금총액은 상용직의 경우 3,231천원으로 2.2% 증가한 반면 임시・일용직은 1,367천원으로 0.6% 감소

   총근로시간은 월력상 근로일수가 전년동월과 동일(22일)한 가운데 0.9%(-1.6시간) 감소(181.8→180.2시간)


’14.5월 사업체 종사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151천명(1.0%) 증가

 (총괄) 사업체 종사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151천명(상용 +236천명, 임시·일용 -19천명, 기타종사자 -66천명) 증가한 15,174천명으로, 상용직 증가폭은 소폭 확대, 임시·일용직은 감소로 전환됨

 (규모별 ) 10만명 미만으로 감소하였던 300인 미만 규모 사업체 종사자수의 증가폭(+117천명)은 확대된 반면 300인 이상 규모의 증가폭(+34천명)이 소폭 감소

(산업별) 전년동월대비 종사자 수는 건설업(+145천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44천명),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38천명) 순으로 증가, 도매 및 소매업(-35천명), 금융 및 보험업(-31천명) 순으로 감소함

   건설업(13.0%),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6.4%) 등에서 종사자 수 증가율이 크고, 금융 및 보험업(-3.7%) 등은 감소율이 크게 나타남

’14.5월 입직률은 4.0%로 전년동월대비 0.4%p 하락
      이직률은 4.1%로 전년동월과 유사

’14.5월 입직률은 4.0%로 전년동월대비 0.4%p 하락, 이직률은 전년동월과 유사한 4.1% 수준 

- 입직자수는562천명으로전년동월대비40천명(-6.6%)감소,  이직자수는577천명으로전년동월대비 7천명(1.2%)증가함

 (규모별) 300인 미만 사업체 입직률은 4.3%로 전년동월대비 0.4%p 하락, 300인 이상은 2.3%로 0.1%p 하락함

 이직률은 300인 미만(4.5%)과 300인 이상(2.1%) 모두 전년동월과 유사함

(산업별) 입직률이 높은 산업은 건설업(10.0%), 숙박 및 음식점업(8.1%),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6.7%) 등이고 낮은 산업은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0.9%), 교육서비스업(1.3%) 등이며,  

이직률이 높은 산업은 건설업(12.0%), 숙박 및 음식점업(7.6%) 등이고, 낮은 산업은 교육서비스업(1.2%),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1.4%) 등임

’14.4월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036천원으로 전년동월(2,984천원)대비 1.7% 증가

 (종사상지위별)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상용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231천원으로 전년동월(3,162천원)대비 2.2% 증가하였으며, 임시일용근로자는 1,367천원으로 전년동월(1,375천원)대비 0.6% 감소함

  상용근로자 1인당 월평균 정액급여는 2,639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3.2% 증가, 초과급여는 199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0.6% 증가, 특별급여는 392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7.6% 감소함

 (규모별) 5~300인 미만(상용기준)은 2,723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9% 증가, 300인 이상은 4,249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2% 증가하여 300인 미만 상승률이 300인 이상보다 높게 나타남

(산업별) 전년동월대비 임금상승률은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4.6%)이 높았으며, 제조업(3.5%)과 금융 및 보험업(3.2%)이 그 뒤를 이음

’14.4월 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80.2시간으로 전년동월(181.8시간)대비 0.9% 감소

 (종사상지위별)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상용근로자 1인당 월평균 총근로시간은 187.9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0.2%(-0.3시간) 감소하였으며, 임시·일용근로자(114.0시간)도 7.2%(-8.9시간) 감소함

 (규모별) 5~300인 미만(상용기준) 사업체의 전체근로자 총근로시간은 180.6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1.0% 감소, 300인 이상은 178.7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0.2% 감소함

(산업별)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총근로시간이 긴 업종은 전년동월대비 1.1% 증가한 제조업(197.0시간)과 1.7% 감소한 부동산업 및 임대업(196.6시간) 순으로 나타났으며, 

짧은 업종은 전년동월대비 3.7% 감소한 건설업(152.4시간)과 2.7% 증가한 교육서비스업(160.6시간) 순으로 나타남


문  의:  노동시장분석과  정향숙 (044-202-7257)

첨부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