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제목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모든 것, 이제‘www.NCS.go.kr’로 통한다.
등록일
2014-07-21 
조회
1,828 

고용노동부(장관 이기권)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이사장 송영중)은「국가직무능력표준(NCS) 및 학습모듈 통합포털사이트(www.ncs.go.kr)」를 전면 개편하여 2014년 7월 21일부터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새로 개편된 사이트에서는, 단 한번의 방문(One-stop)으로 학습모듈, 활용패키지와 같은 NCS 관련 콘텐츠를 다운받을 수 있고 관심 분야에서의 경력경로 설계 지원과 같이 근로자․학생 등이 실제로 관심있고 활용 가능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새롭게 이용 가능한 주요 서비스를 살펴보면,

 첫째, 학습모듈, 활용패키지* 등 현재까지 개발된 254개의 NCS와 468개의 학습모듈을 모두 탑재하였으며, 활용패키지와 같은 NCS 관련 콘텐츠도 다운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다운받고자 하는 콘텐츠들을 하나의 파일로 조합하기, 관심 분야를 설정하면 로그인을 할 때마다 실시간을 정보를 업데이트 해주는 기능 등의 개인화 서비스를 강화했다.
   * 활용패키지: NCS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NCS 기반의 평생경력개발경로, 채용․배치․승진 체크리스트, 훈련기준 등 제공

 둘째, 탑재된 모든 NCS의 해당 분야 경력개발경로를 온라인에서 전문가의 도움 없이 직접 만들어 보고, 경력경로 각 단계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학생의 경우, 관심 분야에서의 장기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경력 경로를 직접 손쉽게 그려볼 수 있으며, 각 단계에서 필요한 교육․훈련이나 자격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구직자․근로자의 경우에도 관심있는 분야의 경력경로를 설계해 보고 해당 분야로의 취업 또는 전직이나 이직을 위한 다양한 일자리 정보를 확인 가능하다.

   뿐만아니라, 교사 또는 훈련교원의 경우에는 경력경로를 토대로 학생들의 진로상담, 훈련프로그램 설계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NCS위키’ 기능을 통해 일반 국민이 직접 NCS의 개발과 보완에 참여할 수 있는 창구가 마련됐다.

   ‘NCS 위키’에 제안된 의견에 대해 일정 주기마다 전문가 회의를 거쳐 반영 여부를 검토하고, 그 결과를 피드백해주는 방식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NCS가 현장 직무를 더 꼼꼼히 반영하고, 현장의 기술변화를 좇아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밖에, NCS 및 학습모듈의 온라인 개발 지원 기능, 모바일 사이트 연동을 통한 접근성 강화 등 단 한번의 접속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A to Z’를 확인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은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갖춘 신규 사이트의 활용 편의성 강화와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양한 수요자가 참여한 다수의 시연회를 통해 고객의 요구사항을 지속적으로 반영해 왔으며

   향후 온라인 교육·훈련과정 설계기능, 경력개발경로 기반의 진로상담 및 기업 맞춤형 서비스 제공기능 등을 추가 탑재하고, 서버 확장․기존 기능 보완 작업 등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추가 고도화사업도 진행할 예정에 있다.

 고용노동부 이기권 장관은 “이번에 개편된 포털사이트의 다양한 수요자 맞춤형 기능을 통해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NCS가 보다 쉽게 일반 국민에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서비스 이용 고객의 의견 수렴을 통해 NCS 확산의 쌍방향 소통 채널로서의 역할을 공고히 다져가겠다”고 밝혔다.


문  의:  고용노동부 직업능력평가과  백석현 (044-202-7289)
         한국산업인력공단 표준활용지원팀   배창옥 (052-714-8674)

첨부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