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제목
“이번 겨울방학엔 토익 대신 융합교육을” 2016년도 운영기관 공모 사업설명회 개최
등록일
2015-11-24 
조회
1,131 

고용노동부(장관 이기권)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이사장 박영범)은 ‘15.11.30(월) 중소기업 DMC 타워에서 2016년도 청년취업 아카데미 운영기관 공모 사업설명회를 개최한다.
  
‘16년에는 인문계 특화과정을 재학·졸업(예정) 단계로 세분화하여 재학생 대상 단기과정을 신설하고 지원규모를 확대하여 인문계 등 청년의 취업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금번 겨울방학을 활용해 청년들은 일반적인 스펙을 쌓는 대신 우수 운영기관이 운영하는 융합 교육훈련에 참여가 가능하며, 인문·예체능계 재학생도 신설 예정인 단기과정을 통해 전공교육과 함께 기술분야 탐색 및 교육훈련 참여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설명회에는 기업, 사업주 단체, 대학, 민간 우수 훈련기관이면 누구나 참여가 가능하다.  ‘16년도 청년취업아카데미 사업규모는 12,000명으로 운영기관은 과정유형을 인문계 특화과정(장·단기), 일반과정, 창직과정 중에서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참여할 수 있다.

 장기과정*은 지원규모를 대폭 확대하여 인문계 등의 비전공자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경력개발 기회를 가질 수 있게 하는 등 취업의욕을 높이고 취업역량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재학생(2∼3학년) 대상 단기과정을 신설하여 산업수요에 맞는 직무이해와 기초직무교육 등 기초예비과정의 참여기회를 통해 체계적인 진로목표를 설계할 수 있도록 취업준비를 지원하기로 하였다.
  
운영방식은 연수분야 특성과 운영기관 여건을 고려하여 집체와 체험교육 비중을 적절히 배분·다양하게 운영할 수 있다. 다만, 기초예비과정형의 연계운영 특성(단기→장기과정)상 패키지(단기과정+장기과정)로만 제안이 가능하며, 최대 2년간 운영을 보장한다.

 한편, ‘15년도 청년취업아카데미 성과평가 우수기관(취업률 등)은 ’16년도 참여기관으로 우선선정하고, 최대 2년간 참여를 보장할 예정이다.

 ‘16년에는 과정유형에 관계없이 모든 연수과정의 연수생 모집단계에서 반드시 적성검사를 실시하여 적성을 찾은 학생들이  취업의지를 갖고 취업역량에 매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하였다.
 
아울러 비전공 대상 인문계 특화과정(장·단기)의 참여요건을 완화하여 예체능계열 등 비전공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기업현장 전문가 및 NCS 개발자 등의 밀착 멘토링(총 연수시간의 10% 내외)을 통해 연수과정의 이해도를 높일 예정이다. 
 
이와 함께 과정설계는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역량을 반영할 수 있도록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신직업자격기준 적용을 권장하기로 하였다.

 ‘16년도 청년취업아카데미 사업 운영기관 공모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고용노동부(www.moel.go.kr) 홈페이지와 한국산업인력공단 홈페이지(www.hrdkorea.or.kr), 청년취업아카데미 홈페이지 (www.myjobacademy.kr)에서 확인 할 수 있다.

 고용노동부 나영돈 청년여성고용정책관은 “기업수요에 맞는 과정을 설계·운영하고 성과를 높이려면 운영기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인문계 학생들이 방학 때는 토익 등 스펙 쌓는데 시간을 많이 할애하는데, 그 대신 알찬 융합교육훈련과정에 참여하여 2,3학년부터 미리 준비하면 IT 등 유망업종에 두려움 없이 진출하여 역량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니, 많은 청년들이 참여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문  의:  고용노동부 청년고용기획과  장순남 (044-202-7416)
         한국산업인력공단 능력개발지원팀  김성우  (052-714-8279)

첨부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