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제목
“전사적 윤리경영체제 도입한 한국산업인력공단”
등록일
2010-02-11 
조회
630 

 한국산업인력공단(이사장 유재섭)이 최근 공공기관의 관행을 탈피한 청렴도 향상 대책 방안을 내놓고 전사적 윤리경영체제로 전환했다.

 이번 대책은 공공기관 선진화 방안에 따른 경영효율화를 위한 조치로, 지난 1월 공공기관 최초의 특별감찰팀 신설과 함께 다른 공공기관들에게 자극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부패신고시스템을 민간에 아웃소싱하는 부분이다.

  민간시스템을 이용하면 부패신고 접수, 조사, 포상금 지급 등의 과정에서 신고자의 신분이 노출될 개연성이 크게 줄어, 내·외부 부패신고가 활성화된다. 게다가 신고처리기간이 단축되고 사후관리까지 강화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공단은 내부고발문화가 정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공단은 2005년부터 내부 부조리 신고자에게 최대 2,000만원의 보상금을 지급하는 규정을 제정해 시행해 왔으나, 현재까지 단 한건의 신고도 접수되지 않았다.

  신고자의 비밀·신분보장과 보복행위를 금지하는 조항도 있지만, 감사실 직원도 한솥밥을 먹는 동료들이다보니, 내부고발자가 나오기 힘들다는 게 공단 측의 판단이다.

 
공단의 송승호 감사는 “청렴도는 곧 그 기관의 수명과 같다”며, “신고시스템 아웃소싱으로 부패신고의 문턱을 낮추는 한편, 전 직원이 윤리경영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신고시스템만 아니라, 시민·외부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청렴옴부즈만제도’를 도입하는 등 민간부분을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

  금전적 이해관계가 걸린 민간사업자들과 공단간의 상호감시를 통해 청렴경영을 실천한다는 것이다. 적은 금액이라도 부패행위가 적발되면 규정이 정한 범위 내에서 최대한의 징계를 주는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도도 도입한다.

  심의를 통해 문책수위를 낮추는 ‘제 식구 감싸기 식’의 온정적 처벌관행을 과감하게 탈피해, 전 직원에게 경각심을 심겠다는 취지다.

 공단은 이미 임직원이 직무와 관련해 금품수수, 향응제공 등의 범죄행위를 한 경우 반드시 검찰에 고발하도록, 내부 지침을 제정했다. 교육과 보상체계를 강화해 윤리경영에 대한 직원들의 참여도를 크게 향상시킬 계획도 세웠다.

 공단은 e-감사시스템을 통해 윤리교육이수, 부패행위 신고, 청렴정책 제안 등 직원의 활동실적을 체크하고 점수를 부여하는「샘물마일리지」제도를 도입한다. 마일리지가 높은 직원을「샘물지키미」로 선정하고 포상하는 한편, 승진 등에 우대하기로 했다.

 ‘샘물’은 지난 2008년 공단이 선정한 윤리경영브랜드 ‘샘물경영’에서 따온 말로, 깨끗하고 마르지 않는 샘물처럼 윤리경영의 샘을 만들어가겠다는 의지가 담겨있다.

 반면,「샘물정화시스템」을 도입해 청렴도가 부진한 사업과 기관을 중점관리하고, 외부 청렴도 조사결과 ‘미흡’, ‘매우 미흡’으로 분류된 기관장 및 업무담당 팀장에게는 인사상 불이익을 줄 방침이다. 제도개선에 이어, 윤리경영 캠페인과 홍보강화로 대내외 윤리경영문화를 확산하기로 했다.

 먼저 「샘물나눔터」를 구축해, 윤리경영 성과사례를 공유하고 반부패 전문가와 업무담당자간의 의사소통을 활성화 하는 등, 사내에 윤리문화를 정착시킨다는 계획이다.

또, 외부로 발송되는 모든 문서에 업무처리에 대한 이의제기와 부패신고 안내 문구를 삽입하고, 전 직원의 명함 뒷면에는 청렴행동원칙을 기재해 대외적인 이미지도 개선한다.

 공단은 전사적 윤리경영체계가 효과를 보게 된다면, 정부경영평가에서도 좋은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부경영평가가 상대평가인 만큼, 공단의 대책이 공공기관 윤리경영에 높은 기대를 걸고 있는 국민들을 만족시킬 수 있을지에 타 기관들의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문  의:  감사실 송길용 (02-3271-9013)
         홍보실 엄현석 (02-3271-9085)

첨부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