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제목
’16년 10월 기준 ˝직종별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발표
등록일
2016-12-28 
조회
1,195 

고용노동부는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인력충원, 부족현황 및 채용계획 등을 조사한 ‘16년 하반기(10월 기준) "직종별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16년 3분기 구인인원은 전년동기대비 9천명(1.4%) 증가
           채용인원은 전년동기대비 3천명(0.5%) 증가
      ⇒ 다만, 구인?채용인원은 ‘15년 감소한 이후에 정체된 수준

 ‘16.3분기 구인인원은 703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9천명(1.4%) 증가, 채용인원은 614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3천명(0.5%) 증가
구인 및 채용인원은 ‘15.3분기 5천명 감소한 이후에 정체된 수준

(직종별) 구인 및 채용인원은 경영·회계·사무 관련직(구인 95천명, 채용 85천명), 건설 관련직(구인 68천명, 채용 65천명), 영업 및 판매 관련직(구인 66천명, 채용 59천명) 순으로 많음
     
전년동기대비 증가율은 환경.인쇄.목재.가구.공예 및 생산단순직(구인 33.7%, 채용 29.7%), 화학 관련직(구인 33.2%, 채용 21.0%) 등에서 높게 나타남
 
(산업별) 구인 및 채용인원은 제조업(구인 148천명, 채용 117천명),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구인 82천명, 채용 75천명), 건설업(구인 80천명, 채용 75천명) 순으로 많음
     
전년동기대비 증가율은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구인 95.2%, 채용 88.5%),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구인 50.7%, 채용 57.0%) 등에서 높게 나타남
 
(규모별) 300인 미만(구인 585천명, 채용 501천명)이 300인이상(구인 118천명, 채용 112천명)보다 구인 및 채용인원이 많음
   
전년동기대비 증가율은 300인 미만(구인 1.4%, 채용 0.4% 증가)과 300인이상(구인 1.4%, 채용 0.6% 증가) 모두 비슷하게 나타남

‘16.3분기 미충원인원은 전년동기대비 7천명(8.0%) 증가
                미충원율은 전년동기대비 0.7%p 상승
 

 ‘16.3분기 동안 사업체에서 적극적인 구인에도 불구하고 인력을 충원하지 못한 미충원인원은 90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7천명(8.0%) 증가하였고, 미충원율은 12.7%로 전년동기(12.0%) 보다 0.7%p 상승

 (직종별) 미충원인원은 운전 및 운송 관련직(14천명), 경영·회계·사무 관련직(10천명), 환경.인쇄.목재.가구.공예 및 생산단순직(9천명) 순으로 많음
    
미충원율은 운전 및 운송 관련직(31.1%), 섬유 및 의복 관련직(26.9%), 화학 관련직(25.5%), 문화.예술.디자인.방송 관련직(21.8%) 순으로 높음
     
(산업별) 제조업(30천명), 운수업(13천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9천명), 도매 및 소매업(8천명) 순으로 많음
미충원율은 운수업(32.5%), 제조업(20.6%), 하수.폐기물처리.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13.8%) 순으로 높음

(규모별) 300인 미만(84천명)이 300인 이상(6천명)에 비해 미충원인원이 많음
300인 미만과 300인 이상의 미충원율은 각각 14.3%와 5.0%로 차이가 크게 나타남 

(미충원 사유) 구인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인력을 충원하지 못한 사유를 보면, ‘임금수준 등 근로조건이 구직자의 기대와 맞지 않기 때문’(23.6%), ‘구직자가 기피하는 직종이기 때문’(17.7%) 등이 높음

직능수준이 높을수록 ‘사업체에서 요구하는 학력·자격 또는 경력을 갖춘 지원자가 없기 때문’이라는 비율이 높음
직능수준이 낮을수록 ‘구직자가 기피하는 직종이기 때문’, ‘임금수준 등 근로조건이 구직자의 기대와 맞지 않기 때문’의 비율이 높음

‘16.10.1. 현재 부족인원은 전년동기대비 14천명(5.1%) 증가
                  인력부족률은 전년동기대비 0.1%p 상승

 ‘16.10.1. 현재 사업체가 정상적인 경영 및 생산활동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더 필요한 ’부족인원‘은 283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4천명(5.1%) 증가하였고, 인력부족률은 2.5%로 전년동기대비 0.1%p 상승함

(직종별) 부족인원은 경영·회계·사무 관련직(36천명), 운전 및 운송 관련직(31천명), 영업 및 판매 관련직(26천명), 환경.인쇄.목재.가구.공예 및 생산단순직(25천명), 기계 관련직(21천명) 순으로 많음
   
인력부족률은 운전 및 운송 관련직(5.0%), 식품가공 관련직(4.5%), 음식서비스 관련직(4.3%) 순으로 높음

(산업별) 부족인원은 제조업(89천명), 도매 및 소매업(30천명), 운수업(28천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26천명) 순으로 많음
     
인력부족률은 숙박 및 음식점업(4.8%), 운수업(4.7%), 도매 및 소매업(2.8%),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2.8%) 순으로 높음
 
(규모별) 300인 미만(261천명)이 300인 이상(23천명)에 비해 부족인원이 많음
인력부족률도 300인 미만(2.8%)이 300인 이상(1.0%)에 비해 높음

‘16.4분기∼ ‘17.1분기 채용계획인원은 전년동기대비 9천명(3.0%) 증가

 ‘16년 4/4분기부터 ‘17년 1/4분기 동안 채용계획인원은 304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9천명(3.0%) 증가하였으나, 300인 이상 사업체의 채용계획인원은 감소(-8.8%)

(직종별) 채용계획인원은 경영.회계.사무 관련직(36천명), 운전 및 운송 관련직(31천명), 영업 및 판매 관련직(28천명), 환경.인쇄.목재.가구.공예 및 생산단순직(26천명) 순으로 많음

(산업별) 채용계획인원은 제조업(92천명), 도매 및 소매업(30천명), 운수업(28천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28천명) 순으로 많음
    
(규모별) 300인 미만(275천명)이 300인 이상(30천명)에 비해 채용계획인원이 많음

문  의:  노동시장조사과 박경희 (044-202-7253)

첨부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