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제목
- '17.8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발표-
등록일
2017-09-27 
조회
2,085 

근로실태 부문
(임금총액) ’17.7월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상용+임시.일용)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518천원으로 전년동월(3,415천원)대비 3.0%(+103천원) 증가
   * ’17년 1∼7월 누계 월평균 임금총액은 3,483천원으로 전년동기대비 3.0%(+102천원) 증가
 
 (종사상지위별) 상용직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698천원으로 전년동월(3,605천원)대비 2.6%(+93천원) 증가, 임시.일용직은 1,554천원으로 전년동월(1,482천원)대비 4.9%(+73천원) 증가

(규모별) 상용 5~300인 미만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195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4.0%(+122천원) 증가, 상용 300인 이상은 4,928천원으로 2.1%(+102천원) 증가

(산업별) 임금총액이 많은 산업은 금융 및 보험업(5,908천원),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5,275천원) 순이며, 적은 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2,017천원),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2,103천원) 순

(근로시간) ’17.7월 상용 5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상용+임시.일용)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71.6시간으로 전년동월(174.1시간)대비 2.5시간(-1.4%) 감소
   * 이는 근로일수(20.5일)가 전년동월대비 0.2일(-1.0%) 감소한 데 기인

(종사상지위별) 상용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76.8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2.7시간(-1.5%) 감소하였고, 임시·일용근로자는 115.1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4.2시간(-3.5%) 감소

(규모별) 상용 5~300인 미만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72.0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2.8시간(-1.6%) 감소, 상용 300인 이상은 170.1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1.2시간(-0.7%) 감소

(산업별) 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이 긴 산업은 부동산업 및 임대업(188.6시간), 제조업(184.9시간) 순이며, 근로시간이 짧은 산업은 건설업(147.3시간), 교육서비스업(155.4시간) 순

고용부문 (잠정결과)
(종사자) ’17.8월 마지막 영업일 현재,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종사자 수는 17,492천명으로 전년동월(17,241천명) 대비 251천명(+1.5%) 증가
 
 (종사상지위별) 상용근로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243천명(+1.7%) 증가,   임시·일용근로자 수는 동일, 기타종사자 수는 7천명(+0.7%) 증가

(규모별) 상용근로자 300인 미만 사업체의 종사자 수는 전년동월(14,609천명) 대비 225천명(+1.5%) 증가한 14,834천명, 300인 이상은 전년동월(2,632천명) 대비 26천명(+1.0%) 증가한 2,658천명

(산업별)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84천명, +5.8%), 건설업(+42천명, +3.4%), 도매 및 소매업(+31천명, +1.4%) 등에서 주로 증가
 
 전 산업 중 종사자 수가 약 21%를 차지하는 제조업의 경우, ’16년에는 전년동월대비 3~4만명대로 증가하였으나 ’17.8월에는 2천명까지 증가폭이 축소
 
 최근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은 증가로 전환(+1천명)되었으며, 조선업이 포함된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31천명)은 감소세 지속

(입.이직자) ’17.8월 중 입직자 수는 756천명으로 전년동월(676천명) 대비 79천명(+11.7%) 증가, 이직자수는 751천명으로 전년동월(630천명)대비 120천명(+19.1%) 증가하는 등 전체 노동이동이 확대

 ’17.8월 입직률은 4.6%로 전년동월대비 0.4%p 상승, 이직률은 4.6%로 전년동월대비 0.7%p 상승

(규모별) 상용 300인 미만 사업체 입직자 수는 688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88천명(+14.8%) 증가, 이직자 수는 682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25천명(+22.5%) 증가하는 등 노동이동이 확대
  
 상용 300인 이상 사업체 입직자 수는 68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9천명(-11.7%) 감소, 이직자 수는 69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5천명(-6.3%) 감소하는 등 노동이동이 축소

(산업별) 입직자가 많은 산업은 건설업(215천명), 제조업(105천명) 순이며, 이직자가 많은 산업도 건설업(212천명), 제조업(107천명) 순
 
 전년동월대비 입·이직 등 노동이동이 확대된 산업은 건설업(입직 +47천명, 이직 +47천명), 숙박 및 음식점업(입직 +10천명, 이직 +17천명) 등이며, 노동이동이 축소된 산업은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입직 -7천명, 이직 -1천명),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입직 -5천명, 이직 +0.2천명) 등

16개 시도별 임금 및 근로시간(부가조사)
(임금총액) '17.4월 기준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상용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을 16개 시도별로 보면, 울산시(4,241천원), 서울시(3,942천원) 순으로 많고, 제주도(2,649천원)가 가장 적게 나타남

전국 평균임금(=100)을 기준으로 시도별 상대임금 수준을 살펴보면, 울산시는 전국 평균의 120.5%, 제주도는 75.2% 수준임

 ’17.4월 기준 전년동월대비 임금상승률은 충청북도(+3.8%), 광주시(+3.6%)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울산시(-1.1%), 경상남도(+2.0%) 등은 낮게 나타남

 한편, 각 시도별 소비자물가지수를 반영한 실질임금상승률은 부산시(+1.8%), 충청북도(+1.7%) 순으로 높게 나타남

(근로시간) '17.4월 기준 16개 시도별 상용 5인 이상 사업체의 상용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을 보면, 경상북도(182.1시간), 충청북도(181.1시간) 순으로 길게 나타났고, 서울시(166.3시간)가 가장 짧게 나타남
     * 근로시간 = 소정 실근로시간 + 초과근로시간

전국 평균근로시간(=100)을 기준으로 보면, 근로시간이 가장 긴 경상북도는 전국 평균 근로시간의 105.1% 수준이었으며, 가장 짧은 서울시는 전국 평균의 96.0% 수준임

근로시간은 전년동월대비 울산시(-5.8시간), 인천시(-5.2시간) 순으로 감소한 반면, 전라북도(+0.9시간)는 증가

문  의:  노동시장조사과 김은주 (044-202-7250)
 

첨부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