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제목
'17.9월 고용동향 (취업자 31.4만명 증가)
등록일
2017-10-18 
조회
1,466 

9월 취업자는 8월의 기상악화 등 일시적 요인 해소, 추경집행 효과 등으로 건설업?서비스업 중심 30만명대 증가세 회복

(건설업) 기상여건 개선(9월 강수일수, ’16→’17년, 12.5→5.5일), 아파트 준공물량 증가 등으로 고용 증가폭 확대

(서비스업) 수요가 증가하는 보건복지업과 추경집행?추석 효과 등에 따른 공공행정?도소매업 고용 개선 등으로 증가세 유지
숙박음식업은 내수부진 등에 따른 고용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감소폭은 완화

(제조업) 수출호조 등으로 6월 이후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구조조정 영향 지속 등으로 회복세 미약

<고용지표>

 경제활동참가율(63.4%) 소폭 상승(+0.1%p), 고용률(15~64세, 66.9%)도 지속 상승(+0.5%p, ’16.9월 66.4%)

실업률(3.4%)은 하락(△0.2%p)하였으나, 부산?전북 등 일부구조조정 영향 지역의 실업률 상승세 지속

<청년(15~29세)고용여건>

청년 취업자는 인구감소(△9.1만명) 영향 등으로 감소(△3.0만명), 취업자 보다 인구가 더 크게 감소하며 청년 고용률은 상승 
   * 청년 취업자수(전년동기비,만명) : (‘17.上)1.3 (7)△1.6 (8)△2.1 (9)△3.0
   * 청년지표(16.9→17.9,%):(경활률)46.9→46.9 (고용률)42.5→42.6 (실업률)9.4→9.2

청년 경제활동참가율은 전년 수준 유지, 실업률 소폭 하락

구직단념자 등을 포함한 청년 고용보조지표3(21.5%, 107만명)은 소폭 상승(+0.2%p) → 상승세는 둔화(1~8월 평균 +0.8%p)


문  의:  미래고용분석과 박소영 (044-202-7256)

첨부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