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민원
빠른인터넷상담
- 질의
- 안녕하세요. 저는 추가근무 하는 경우가 많아 사장님께 추가수당에 대해 말을 꺼내니 정색하시며 말을 끊으시는데 이런 경우 신고가 가능한가요? 사업장은 어떤 처벌을 받게 되나요?
- 답변
- 1. 상시근로자수에 따라 다르며, 상시근로자가 5명미만인 경우 연장, 휴일, 야간근로가 인정되지 않아 근무시간에 따른 시급만 계산하면 되고,
2. 상시근로자수가 5명이상인 경우, 법정근로시간(1일 8시간, 주 40시간) 이상의 연장근로 및 휴일, 야간(22:00~익일06:00) 근로시에는 통상시급의 50%를 가산하여 지급하여야 합니다.
3. 임금차액이 발생하였다면 재직중에도 사업장 관할 지방노동청에 진정을 제기하여 법적판단을 받아보실 수 있으며 조사결과에 따라 권리구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4. 아래의 절차에 따라 진정제기가 가능합니다.
※ 진정서 제출 방법
· <고용노동부 홈페이지(www.moel.go.kr)→ 왼쪽상단의 민원마당 → 민원신청 →서식민원 → 임금체불 진정신고서 → 회원 로그인 후 신청>
· 사업장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고용노동관서 고객상담실을 방문하여 진정서 등 작성 제출
· 가까운 지방고용노동관서 고객상담실을 방문하여 진정서 등 작성후 해당기관으로 팩스 송부
5. 임금체불 처벌규정으로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규정되어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이전글민원인은 2018. 6. 8. 천안지청에 임금체불에 따른 고소장을 접수한 사실이 있습니다.
- 다음글직장이 부산입니다. 투표를 위해 울산에 가야하는데, 내일 정상근무를 한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