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연구용역보고서

제목
산업별 생산 및 취업계수 중장기 전망: 2005~2020
담당부서
고용정책팀 
전화번호
02-503-9748 
담당자
정영학 
등록일
2005-08-02 
"인력수급전망 인프라 구축방안"의 일환으로 한국개발연구원(KDI)에 의뢰한 연구용역 결과입니다

□ 이번 연구는 노동부에서 추진중인 「인력수급전망 인프라 구축방안」의 일환으로 한국개발연구원(KDI)에 연구 의뢰한 것이며 ’02년의 전망결과를 수정·보완한 것임

□ KDI는 거시경제의 장기변화 전망에 사용되는 「KDI 다부문모형」의 전망결과를 수정·보완하여 2005~2020년 기간중 69부문별 생산 및 취업계수 전망

○ 전산업 성장률은 ’80년대 8.5%에서 2015~2020년에 4.8%로 투입요소 증가율 둔화에 따라 하락 추세
- 광공업은 ’80년대 10.9%에서 ’00~’05년 6.2로 크게 낮아진 이후 2020년까지 거의 변화가 없으나
- 서비스업은 ’80년대 8.5%에서 지속적으로 낮아져 2015~2020년에는 4.3%로 둔화
- 농림어업은 ’80년대 3.1%에서 ’00년 이후 마이너스 성장률로 전환되고 2015~2020년에는 -1.2%가 될 전망

○전산업 취업계수(=실질 GDP 1억원당 취업자수)는 ’80년에 10.57에서 지속적으로 낮아져 2020년에는 1/5수준인 1.90로 감소
- 광공업의 경우 취업계수의 하락속도가 빨라 ’80년에 11.93에서 2020년에는 1/10에도 못미치는 0.90로 감소
- 서비스업과 농림어업은 취업계수의 하락속도가 느려 ’80년에 6.75, 30.04에서 2020년에는 2.41, 5.19로 각각 하락

□ 향후 KDI의 중장기 생산 및 취업계수 전망결과를 활용하여 노동연구원에서 취업자수 전망을 실시하고

○ 추가적 조사 및 연구를 통해 ’06년부터 산업소분류(194개)·직업세분류(391)별로 인력수요 전망 결과를 제공할 계획
첨부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