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임금체계 개요

지속가능하고 미래지향적인 노동시장 구축을 본격적으로 추진
(개념) “임금체계”란 임금이 “결정 또는 조정”되는 기준과 방식을 의미합니다.
  • * (결정방식) 기본급이 결정되는 기준으로 연공급·직무급·직능급·역할급 등으로 구분
  • * (조정방식) 임금조정의 방식으로 성과연봉제·임금피크제 등이 해당
  • “임금”은 노동에 대한 중요한 보상 요인임과 동시에 기업의 경영성과와 연계되는 핵심기제로, 임금체계는 중요한 인적자원 관리수단입니다.
  • 또한, “임금체계 개편”은, 단순히 급여지급 방식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기업 인사관리 및 성과보상의 기준·방식 등 시스템 전환의 문제입니다.
(해외사례) 미국, 독일 등 서구국가 대부분은 ‘동노동임’에 기반한 “직무급”을 채택하고 있고, 일본은 연공급·직능급을 결합한 형태이며, 각 나라는 산업환경에 맞게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현황 및 한계

(현황) 전체 사업체의 약 61%는 기본적인 임금체계조차 없는 상황이고, 임금체계를 갖춘 사업체 중에서는 연공급(호봉급)이 가장 지배적인 상황입니다.
  • * [전체 임금체계 비중] ▴호봉급 13.7% ▴직무급 10.8% ▴기타 24.2% ▴無체계 61.1%[100인 이상 사업체 임금체계 비중(복수응답)] ▴호봉급 55.2% ▴직무급 35.9% ▴직능급 27.6% ▴無체계 3.6% [사업체노동력부가조사, `22년]
  • 특히, 우리나라 임금체계는 다른 나라에 비해 연공성*이 높아 규모·고용형태간 임금격차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수별 임금격차 국제비교(`18년도 1년 미만 임금 100.0 대비 30년 근속 임금 수준)] ▴한국 301.8 ▴일본 239.7 ▴독일 179.8 ▴이탈리아 158.3 ▴프랑스 165.1 ▴영국 150.9
(한계) 임금체계 개편은 노·사 자율의 영역으로 법·제도적으로 강제하기 어려워 실질적 정책수단에 한계가 있고,
  • 필요성은 인식하나, 노사간 인식 差가 크고, 합의 필요 사항(단체협약 또는 취업규칙 개정)이어서 실제 개편 정도는 저조합니다.

임금체계 개편 필요성

저출생·고령화·저성장 등 변화된 최근 노동시장 환경에 대응하고 공정한 임금체계로 변화를 위해서는 직무・성과 중심으로 임금체계 개편이 필요합니다.
연공급의 부작용 및 문제점
  • 고령화로 인한 기업의 비용상승 및 노동생산성 하락(미국의 57.4%)
  • 장기근속자 인건비 부담으로 인한 조기퇴직 압박, 청년 신규채용 감소 등 초래
  • 연공급은 임금격차 확대 기제로 작용하여 노동시장 양극화의 원인으로 작용
  • ‘직무가치-임금수준’ 불일치로 직무 관련 전문성 강화·개발 등의 동기 부여 저조
  • 연공급 임금체계의 불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MZ 중심으로 확산

정책 방향

임금체계 개편은 “노사 자율”의 영역, 장기적·단계적 접근 필요

→ 현장에서 직무중심 임금체계를 쉽게 도입할 수 있도록 임금·직무 정보 인프라 확충, 정보제공 강화, 업종단위 컨설팅 중점 추진

(인프라 확충) 임금체계 개편 관련 현장에서 실제 필요로 하는 임금·직무정보 제공을 위해 통합형 임금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 * 각각 별도로 제공 중인 임금-직무정보를 결합하여 제공, 현행 직업 중·소분류 단위에서 제공 중인 임금 정보를 직업 세분류의 세분화된 임금정보까지 단계적 확대 제공 계획
(정보제공 강화) 임금직무정보시스템(www.wage.go.kr)을 통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산업별·규모별·직업별 임금 정보 및 임금체계 개편사례 등 다양한 임금·직무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또한, 직무평가도구 및 활용매뉴얼을 지속 개발‧보급하여 기업의 직무분석에 대한 비용 등 부담을 경감하고 있습니다.
(컨설팅 제공) 임금체계가 없거나 구축 여력이 부족한 중소기업 대상으로 직무·성과 중심의 공정한 임금체계 도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시범업종을 선정하여 ‘현장직무별 임금수준’ 통계를 구축하고, 2024년부터는 업종 내 직무·성과 중심 임금체계 도입·확산을 지원하는 업종별 컨설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