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질의
19년 1월에 입사해서 휴가 5일 초과했습니다 제가 임금 공제 비동의하면 그대로 받을수있나요? 불이익이 있나요? 그리고 퇴직금은 어떻게되나요?
답변
귀 질의내용만으로는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확인할 수 없어 답변이 곤란합니다.

다만, 귀하께서 연차유급휴가를 모두 사용하였고 오히려 추가로 사용하였다면 추가로 사용한 날은 사용자가 무급으로 처리하더라도 법위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만약 유급으로 부여받은 경우라 하더라도 퇴직할 경우 이는 부당이득에 해당하므로 반환하여야 할 것입니다.

임금공제의 경우 근로자의 동의가 없다면 불가하나, 만약 초과로 연차유급휴가를 사용하였다면 사용자는 이에 대하여 부당이득 반환청구가 가능할 것이고, 구체적인 사실관계에 따라 일부 착오 등으로 과오지급된 임금 및 연차수당의 경우 사용자가 이를 퇴직금 등에서 상계하여 지급하더라도 법위반으로 보긴 어렵습니다.

한편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제4조 및 제8조에 따라 사용자는 4주간을 평균하여 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고 1년 이상 계속하여 근로한 경우, 계속근로기간 1년에 대하여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으로 퇴직금을 산정하여야 하며, 같은법 제9조에 따라 사용자는 근로자가 퇴직한 경우에는 그 지급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퇴직금을 지급하여야 합니다.

평균임금이란 산정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개월 동안에 그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 일수로 나눈 금액을 말합니다.(근로기준법 제2조 제1항 제6호)
만약 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6호에 따라 산출된 금액이 그 근로자의 통상임금보다 적으면 그 통상임금액을 평균임금으로 합니다.(근로기준법 제2조제2항)

계속근로기간이라 함은 원칙적으로 근로자가 입사한 날부터 퇴직일까지의 기간을 말하는 것으로 실 근로시간 및 개근·출근율에 관계 없이 그 사업 또는 사업장에 적을 가지고 있는 한 근로기간에 포합됩니다.

따라서 퇴직금은 ‘1일 평균임금(퇴직 전 3월간 금품합계 ÷ 3개월 간 총 일수) × 계속근로일수 ÷ 365 × 30’의 산식으로 산정하게 됩니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