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제목
(설명) 매일경제, “배달라이더 산재 급증에도.... 손 놓은 고용부” 기사 관련
등록일
2021-12-15 
조회
655 
플랫폼 종사자 등 현장 점검 및 실태조사를 통해 서비스 직종 종사자의 안전하고 건강한 일터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주요 기사내용
12.13.(월) 매일경제, “배달라이더 산재 급증에도 … 손 놓은 고용부” 기사 관련
배달라이더 등 플랫폼 종사자 관련 산업재해 문제가 해마다 심각해지고 있지만 고용노동부는 국정감사 때 국회에 보고했던 제도 개선 계획을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 ( 중 략 ) ...
12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10월 고용부는 ‘향후 플랫폼·프리랜서 노동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들에 대한 보호 방안은 마련돼 있는가’라는 질의에 “플랫폼 종사자 등 서비스 직종의 유해위험 요인 연구용역을 11월까지 실시하고 연내에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서면으로 답변했다. ... ( 중 략 )....
고용부는 국회에 보고한 연구용역을 실시하지 않았고 제도 개선 방안 관련 계획도 연기된 것으로 확인됐다. ... ( 중 략 ) ...
 
 
설명 내용
고용노동부는 배달라이더 등 플랫폼 종사자의 산재예방을 위해 현장 점검 및 실태조사 등을 토대로 개선방안을 검토.마련 중에 있음

올해 10월부터, 2개월여에 결쳐 배달플랫폼 운영업체 17개소를 대상으로 산안법 상 의무 이행 여부를 점검하고 있으며, 금번 점검 결과를 토대로, 플랫폼 종사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사회적 인식 개선을 위해 플랫폼 업체와의 조속한 안전 협약* 체결 등을 추진해 나가겠음
* 안전 중심의 플랫폼 운영방식 개선, 종사자 안전교육, 배달 재촉 금지 등 사회적 인식 개선 노력 등 포함

아울러, 플랫폼 등 전반적인 서비스 직종 종사자에 대한 유해.위험요인 실태조사 등을 통해 산재예방 강화 방안을 마련.추진할 계획임(‘22.~)
* ’22년에는 기존 플랫폼 종사자 실태조사를 포함하여 전반적인 서비스 직종 종사자에 대한 현장 안전 실태조사 실시 예정
 
문 의: 산업안전보건정책과 권기준 (044-202-8814), 산업안전기준과 임경희 (044-202-8852)
첨부
  • hwp 첨부파일 12.13 배달라이더 산재급증에도 손 놓은 고용부(매일경제 설명 산업안전보건정책.hwp 다운로드 미리보기
  • pdf 첨부파일 12.13 배달라이더 산재급증에도 손 놓은 고용부(매일경제 설명 산업안전보건정책.pdf 다운로드 미리보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