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제목
(설명) 한겨레신문.아주경제(4.4)등 ˝ 공공기관 75%, 지난해 시간선택제 채용 ‘0명’ ˝ 기사 관련
등록일
2017-04-04 
조회
1,459 

4.4일자 한겨레신문의 「공공기관 75%, 지난해 시간선택제 채용 ‘0명’」,  아주경제의 「공공기관 시간선택제, 지난해 4곳 중 1곳은 채용 ‘0’」 기사에 대해 아래와 같이 설명합니다.

<주요 보도내용>
<한겨레> 지난해 공공기관 4곳 가운데 3곳은 시간선택제 일자리 채용이 단 한 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가정 양립을 내세웠던 현 정부의 양성평등 고용 정책이 제대로 뿌리내리지 못했다는 방증이다...(중략)...
 지난해 전체 공공기관 342곳 가운데 채용형 시간선택제(비정규직 제외) 직원이 단 한 명도 없는 기관이 257곳(75%)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런 정부 정책은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두는 듯했지만, 약발이 떨어지는 모양새다...(중략)...전체 직원 수로 봐도 시간선택형 일자리의 확산은 더디게 진행됐다. 지난해 전체 공공기관의 전환형 시간선택제 직원 수는 1787명으로 2015년보다 323명 줄었다. 채용형 시간선택제 직원은 2014년 1022명, 2015년 1305명, 2016년 1574명으로 매년 늘고는 있지만, 전체 공공기관 임직원 수 28만 6천여명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아주경제> ...(전략) 공공기관 유연근무제 정착을 선도해야 한다는 취지로 내년까지 모든 기관에 시간선택제를 도입하겠다는 정부계획이 수포로 돌아갈 가능성이 커졌다...(하략)...이는 철도공사가 전환형 시간선택제 직원 수를 806명에서 150명으로 대폭 줄인 것이 영향을 줬다.

<설명 내용>

 공공기관의 시간선택제 활용 실적은 아래와 같음 
신규채용형: ’15년 대비 ’16년 시간선택제 미채용 기관수는 늘었으나, 채용 근로자수는 매년 증가
 * 미채용 기관: (’14년) 252개 → (’15년) 245개 → (’16년) 257개* 채용 근로자수: (’14년) 1,022명 → (’15년) 1,305명 → (’16년) 1,571명
 
전환형: 활용 기관수는 매년 증가 
활용 근로자수는 매년 증가하다 ’15년 대비 ’16년 실적이 322명 감소(한국철도공사 1곳의 실적이 656명 감소한 것을 제외하면 전체 실적은 증가)
   * 미활용 기관: (’14년) 232개 → (’15년) 221개 → (’16년) 214개* 활용 근로자수: (’14년) 905명 → (’15년) 2,110명 → (’16년) 1,788명

 정부는 일·가정 양립을 통한 저출산 극복, 일자리 창출여력 확충 등을 위해 시간선택제 등 유연근무제 확산을 중점 추진 중임
 
특히, 공공부문의 선도적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14년에 시간선택제 신규채용 및 전환 실적을 경영평가에 반영한 데 이어, 지난해 제도 개선 및 보완 대책을 마련하여 모든 공공기관에서 ’18년까지 전환형 시간선택제를 정원의 3% 이상을 활용을 목표로 실적 점검을 강화하는 등 이행방안을 적극 추진 중임

문  의:  대변인(044-202-7779), 고용문화개선정책과장(044-202-7496)

첨부
  • hwp 첨부파일 4.4 공공기관 75%, 지난해 시간선택제 채용 0%(한겨레 설명 고용문화개선정책과).hwp 다운로드 미리보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