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제목
고졸청년, 대학 진학률 낮아지고 취업률은 높아져
등록일
2013-01-31 
조회
1,041 

한국고용정보원(원장 정철균)은 2011년에 실시한 청년패널조사(Youth Panel, YP2007) 5차년도 추적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재학자】

<1> 대학생 10명 중 4명은 아르바이트 경험, 학비마련을 위한 아르바이트생 증가
 
대학생 중 39.4%(2011년 기준)가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고, 그 중 ‘학비마련’을 위해 하는 경우가 2010년 11.1%에서 2011년 14.1%로 3.0%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취업경험을 위한 아르바이트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아직까지 아르바이트 경험은 취업준비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2008년 6.3% → 2011년 3.9%).

또한 대학 재학생의 부모 학비부담 비율은 87.2%(2011년 기준)로 2008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를 나타내고 있는 반면, 본인 및 학자금 융자 비율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취업준비 등으로 인한 휴학 경험 높아

 대학생의 휴학경험 및 사유를 분석한 결과(군입대 휴학 제외), 18.4%(2011년 기준)가 휴학 경험을 하였으며, 이 중 취업준비 등으로 인한 휴학경험이 34.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르바이트로 인한 휴학 경험은 2008년 2.3%에서 2011년 7.6%로 5.3%p 증가한 반면, 취업준비, 자격증 및 고시준비 등으로 인한 휴학 경험은 2008년 37.6%에서 2011년 34.2%로 3.4%p 감소하였다. 지난 조사 이후 평균 휴학기간은 2008년 11.8개월에서 2011년 13.8개월로 2개월 증가하였다.

【취업자】

<3> 대졸에 비해 고졸 취업자의 비임금근로 비율은 높고, 상용직 비율은 낮아
 
전체 취업자 중 고용주, 자영자 등 비임금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고졸(11.7%)이 대졸에 비해 5.4%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졸 취업자의 비율은 매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고졸 비임금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고졸의 취업사정은 대졸에 비해 좀 더 어려워 보인다.

임금근로자 중 상용직근로자의 비율을 살펴보면, 고졸(79.6%) 상용직 비율은 대졸(89.2%)에 비해 9.6%p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매년 고졸의 상용직 비율은 80% 내외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졸자의 진학 및 노동시장 내 경제활동상태를 분석한 결과, 2011년 졸업자의 74.5%는 대학으로 진학하고, 취업으로 6.5%, 미취업(실업·비경활)으로 19.0%가 이동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졸자의 대학 진학률은 2008년 대비 감소를 보이고 있는 반면, 진학준비(재수) 등을 포함한 비경제활동인구가 증가 추세를 보였다.

<4> 고졸 취업자의 취업시간은 대졸에 비해 길고, 교육·전공 직무적합도는 대졸에 비해 낮아

 취업자의 취업시간·소득을 분석한 결과, 고졸 취업자의 취업시간은 주 평균 48.9시간으로 대졸에 비해 3.3시간 길고, 소득은 월평균 187.6만원으로 대졸의 88.9%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년 취업시간은 감소하고 소득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졸과 대졸의 취업시간·소득 상대적 차이는 일정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고졸 및 대졸 취업자의 노동시장 성과를 직무적합도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고졸 취업자의 교육수준은 2.93, 전공일치 수준은 2.85로 나타나, 직업적합도는 고졸에 비해 대졸이 높게 나타났다.

【미취업자】

<5> 비구직자의 비율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 고졸은 진학준비, 대졸은 취업준비 높아

 미취업자(실업·비경제활동) 중에서 비구직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분석한 결과, 고졸의 비구직자 비율은 대졸에 비해 높고(7.3%p)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단, 미취업자 산정시 학교 재학생 제외).   특히 대졸의 비구직자 비율은 증가를 보이면서 고졸에 비해 낮게 유지되었다.

이들 비구직자의 지난 1주간 주로 한일을 추가로 확인한 결과, 전반적으로 가사·육아의 비율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가사·육아의 비율은 2010년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고졸 3.9%p, 대졸 10.8%p), 고졸은 진학준비(22.6%)에서 대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고, 대졸은 취업준비(25.6%)에서 고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연령의 증가와 함께 결혼과 출산, 그로 인한 가사·육아 등이 고졸 및 대졸자 비구직의 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경제활동상태 변화】

<6> 고졸 취업자의 취업 유지 비율은 대졸에 비해 낮고, 학교로 되돌아 가는 비율은 높아

 2010-2011년 기간 경제활동상태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취업에서 취업으로 이동한 비율은 고졸 88.4%, 대졸 90.5%로 나타났다. 또한 비경제활동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한 비율은 고졸 75.2%, 대졸 65.1%로 나타났다. 

   2007-2008년 기간 경제활동상태의 변화와 비교하여, 2010-2011년 기간 실업에서 취업으로 이동한 비율은 고졸자는 감소(-5.6%p)하고 대졸자는 증가(2.1%p)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2007년 당시 취업자를 중심으로 2007-2011년 기간 경제활동상태의 변화를 추가로 분석한 결과, 고졸 취업자는 대졸에 비해 학교로 이동하거나(3.8-4.6%), 미취업상태로 이행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단, 대기업 취업자 18.0% 비교에서 제외).


문  의:   고용조사분석센터  전주용  (02-2629-7352)

첨부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