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제목
- '14.6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발표 -
등록일
2014-07-30 
조회
797 

【주요 특징】

 ’14.6월 사업체 종사자 수는 15,130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99천명 증가(금년 2월 이후 증가폭이 둔화)

   종사자수 증가(99천명)는 큰 폭의 상용직 증가(+184천명)와 임시・일용직(-17천명) 및 기타종사자(-68천명) 감소가 상쇄된 결과임

   업종별로는 건설업(+104천명), 교육서비스업(+41천명),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38천명) 등의 종사자가 증가하였고, 도매·소매업(-39천명), 금융·보험업(-43천명) 등은 감소

   ‘14.6월, 사업체 입직자는600천명으로전년동월대비47천명(+8.4%) 증가하고, 이직자는647천명으로전년동월대비 97천명(+17.6%) 증가

 ’14.5월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2,934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2.0% 증가하고, 근로시간은 164.7시간으로 7.3% 감소

   월평균 임금총액은 상용직의 경우 3,112천원으로 2.5% 증가하였으며, 임시・일용직은 1,385천원으로 0.7% 증가

   총근로시간은 164.7시간으로 월력 상 근로일수 감소(21일→19일) 등으로 7.3% 감소(177.6→164.7시간 : -12.9시간)


’14.6월 사업체 종사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99천명(0.7%) 증가

 (총괄) 사업체 종사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99천명(상용 +184천명, 임시·일용 -17천명, 기타종사자 -68천명) 증가한 15,130천명으로, 상용직 증가폭은 소폭 축소, 임시·일용직은 감소세가 지속됨

 (규모별) 300인 미만 규모 사업체 종사자수의 증가폭(+61천명)이 10만명 미만으로 감소하였고, 300인 이상 규모의 증가폭(+38천명)은 5개월 동안 횡보하는 수준

 (산업별) 전년동월대비 종사자 수는 건설업(+104천명), 교육서비스업(+41천명),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38천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37천명) 순으로 증가, 금융 및 보험업(-43천명), 도매 및 소매업(-39천명) 순으로 감소함

   건설업(9.2%),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5.3%) 등에서 종사자 수 증가율이 크고, 금융 및 보험업(-5.1%) 등은 감소율이 크게 나타남

’14.6월 입직률은 4.2%로 전년동월대비 0.2%p 상승
      이직률은 4.6%로 전년동월대비 0.7%p 상승

’14.6월 입직률은 4.2%로 전년동월대비 0.2%p 상승, 이직률은 4.6%로 전년동월대비 0.7%p 상승

  입직자수는600천명으로전년동월대비46천명(8.4%)증가, 이직자수는647천명으로전년동월대비 97천명(17.6%)증가함

 (규모별) 300인 미만 사업체 입직률은 4.7%로 전년동월대비 0.3%p 상승, 300인 이상은 2.2%로 전년동월과 유사함

   이직률은 300인 미만(5.0%)은 전년동월(4.3%)대비 상승폭이 큰 반면, 300인 이상(2.5%)은 전년동월과 유사함

 (산업별) 입직률이 높은 산업은 건설업(12.7%), 숙박 및 음식점업(8.3%),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6.3%) 등이고 낮은 산업은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1.2%), 교육서비스업(1.1%) 등이며, 

   이직률이 높은 산업은 건설업(14.4%), 숙박 및 음식점업(8.5%) 등이고, 낮은 산업은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1.0%), 교육서비스업(2.4%) 등임

’14.5월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2,934천원으로 전년동월(2,877천원)대비 2.0% 증가

 (종사상지위별)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상용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112천원으로 전년동월(3,036천원)대비 2.5% 증가, 임시·일용근로자는 1,385천원으로 전년동월(1,375천원)대비 0.7% 증가함

  상용근로자 1인당 월평균 정액급여는 2,647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3.3% 증가, 초과급여는 213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1.9% 증가, 특별급여는 252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1.5% 감소함

 (규모별) 5~300인 미만(상용기준)은 2,698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4% 증가, 300인 이상은 3,850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3.8% 증가하여 300인 이상 상승률이 300인 미만보다 높게 나타남

 (산업별) 전년동월대비 임금상승률은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서비스업(7.4%)이 가장 높았으며, 부동산업 및 임대업(4.6%)과 제조업(4.3%)이 그 뒤를 이음

’14.5월 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64.7시간으로 전년동월(177.6시간)대비 7.3% 감소

 (종사상지위별)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상용근로자의 월평균 총근로시간은 170.6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7.0%(-12.8시간) 감소, 임시·일용근로자는 113.1시간으로 7.5%(-9.2시간) 감소함

 (규모별) 5~300인 미만(상용기준)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총근로시간(165.5시간)은 전년동월대비 7.2% 감소, 300인 이상(161.6시간)은 7.2% 감소함

 (산업별)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총근로시간이 긴 업종은 전년동월대비 7.7% 감소한 부동산업 및 임대업(183.3시간)과 5.4% 감소한 제조업(180.2시간) 순으로 나타났으며, 

짧은 업종은 전년동월대비 8.8% 감소한 건설업(142.3시간)과 5.8% 감소한 교육서비스업(145.3시간) 순으로 나타남


문  의:  노동시장분석과  정향숙 (044-202-7257)

첨부
상단으로 이동